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트럼프 코드 맞추기, 오징어 게임보다 흥미

세상이야기들

by k-hohostory 2025. 1. 13. 17:35

본문

반응형

"트럼프 코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정치적 철학, 정책 방향, 그리고 의사결정 방식을 의미하는 용어라 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코드를 맞추는다는 뜻은 트럼프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과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나 사회 전반에서 트럼프에게 환심을 사기 위한 행보의 일환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1. 보수적 기조: 트럼프는 전통적 가치와 보수적 입장을 강조하며,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 같은 진보적 이슈에 대해 비판적입니다.
  2. 반(反) 규제: 정부의 규제를 줄이고 자유 시장을 강조하며, 기업의 자율성을 중시합니다.
  3. 자국 중심주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기반으로 미국 내 일자리와 경제적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4. 기업과의 협력: 트럼프는 기업들에게 유리한 정책을 통해 자신과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 코드와 다양성 정책 폐기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메타와 아마존이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추진했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DEI는 직장에서 인종, 성별, 나이와 관계없이 모두가 공정한 기회를 갖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정책이 특정 계층에게 지나친 특혜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비판해 왔습니다.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자 메타와 아마존은 이러한 정책을 폐기하면서, 그의 입맛에 맞는 방향으로 기업 정책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두고 일부 사람들은 기업들이 트럼프에게 잘 보이기 위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평가합니다.

 

다양성 정책은 모든 사람이 평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인종이나 성별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고용 과정에서 공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트럼프 코드에서는 이런 정책이 "특정 집단에 특혜를 준다"고 보고, 이를 없애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주장합니다.

 

메타는 다양성 정책 외에도 SNS 게시물의 팩트 체크 기능을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트럼프와 그의 지지자들이 SNS 검열에 반대하는 입장을 반영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트럼프는 자신과 보수적인 의견이 검열되는 것을 문제 삼았기 때문에, 메타가 이에 맞춘 조치를 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메타는 트럼프와 가까운 사람들을 주요 직책에 임명하며, 그의 정책 방향에 동조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코드와 넷플릭스의 인기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서로 다른 맥락에서 존재하지만,
몇 가지 흥미로운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이슈를 드러내며,
특정한 방식으로 권력과 경쟁, 불평등을 보여줍니다.

 

 


 

출처=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1. 경쟁과 생존의 논리

  • 트럼프 코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철학은 종종 "승리"와 "성공"을 중심으로 한 경쟁적 세계관을 강조합니다. 그는 "미국 우선주의"라는 정책 기조 아래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타국과의 경쟁에서 승리하려 했습니다.
  • 오징어 게임: 드라마 속 참가자들은 극한의 경쟁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해 싸웁니다. 승리하지 못하면 탈락(즉, 죽음)으로 이어지는 구조는 극단적인 경쟁 사회를 보여줍니다.

2. 불평등과 권력의 구조

  • 트럼프 코드: 트럼프 행정부와 그의 철학은 기존의 불평등 구조를 일부 유지하거나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다양성 정책을 비판하며 "특정 계층에 대한 특혜"라는 논리를 내세우는 모습은 사회적 약자와 기득권 간의 갈등을 드러냅니다.
  • 오징어 게임: 게임 참가자들은 대부분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 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게임에 참가합니다. 참가자들은 게임을 조종하는 '관리자'나 'VIP'와 같은 권력자들의 손에 놓여 있으며,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 희생양이 됩니다.

3. 권력자의 쇼와 대중의 관심

  • 트럼프 코드: 트럼프는 정치인으로서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쇼맨십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그의 발언, 행동, 그리고 논란은 항상 대중의 시선을 집중시켰습니다.
  • 오징어 게임: 게임을 관찰하며 즐기는 'VIP'들은 권력을 쥔 소수 엘리트로, 참가자들의 생존 투쟁을 오락처럼 소비합니다. 이는 권력자들이 대중의 고통을 자신들의 즐거움을 위해 이용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4. 생존자만의 보상과 가치관

  • 트럼프 코드: 트럼프 철학은 종종 개인의 성공과 성취를 강조합니다. 자수성가한 이들이 시스템 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논리가 그 밑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 오징어 게임: 게임에서 이기면 막대한 상금을 받을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의 윤리적 갈등과 인간성 상실은 중요한 주제입니다. 결국 생존자는 사회로 돌아가도 그 상처를 극복하지 못합니다.

5. 비판과 논란 속의 영향력

  • 트럼프 코드: 트럼프는 지지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그의 철학이 미국 사회에 큰 흔적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논란과 비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 오징어 게임: 드라마는 사회적 메시지와 자극적 설정으로 큰 화제를 모았으며, 불평등과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열었습니다.

 

트럼프 코드와 오징어 게임은 모두 현대 사회의 불평등, 경쟁, 권력 구조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대중에게 충격을 주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복잡성과 모순을 생각하게 만듭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